Apartments. Similar yet oh so different.
I’ll admit it. I like to peek into the windows of locals when I travel to a new city. The simple things like curtains, plants and decorations on the balcony. Germans tend to go a little crazy with the plants or sometimes even trees, while Italians tend to stick to little flowers and plants. And laundry. Lots of laundry. We didn’t decorate our windows or balconies that much when I was living in Korea. It’s safe to say that Koreans won’t really decorate because you won’t be able to see inside anyway, and they don’t open their windows that often.
계획만 하고 있던 바르셀로나를 드디어 다녀왔다. 이상하게 유럽에 살면서도 스페인, 바르셀로나 하면 더 낯설게 느껴지는건 뭘까. 다녀와보니 한시간반밖에 안걸리는 시간이었다. G의 사촌 M과 그의 와이프 M이 살고 있는 곳이라 어느정도는 안심을 하고 사전조사도 조금 게으르게 한 것이 사실. 도시가 워낙 크고 박물관이나 미술관, 관광지들이 멀리 떨어져있는 편이라 도시, 길거리, 지하철역등에 익숙해지는데 상대적으로 조금 더 시간이 걸렸다.
So as a result, I also like to take photos of buildings and apartments. Mostly where the locals would be living. Of course, I’m entirely guessing. They might be shoe factories.
Barcelona is actually famous for its unique architecture, more specifically urban planning. Some parts of the city mostly known as the “Eixample” district is characterized by long streets and square blocks of buildings. Like a giant checker board. This was introduced and planned by a progressive Catalan Spanish urban planner Ildefons Cerdà in 1859, who focused on the need for sunlight, natural lighting and ventilation in homes. H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greener environment, effective waste disposal systems and the “seamless movement of people, goods, energy and information.” Seems like a winner to me. The elements that Mr. Ildefons Cerdà opted for seem to have worked, but to be frank, it’s a pain for tourists. Like me. Every street, every block looks exactly the same, making it very hard (and tiring) to find your location. Thanks but no thanks, Mr C.
개인적으로 인테리어에도 관심이 있고 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놓고 사는지 궁금하다. 그래서 집이나, 베란다 등을 유심히 보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독일인들은 창가에도 굉장히 많은 정성과 시간을 할애하고 장식도 다양하고 깔끔하게 하는 편이다. 꽃이나 나무 등은 물론이고 창문의 모양대로 커텐도 다르다. 이탈리아는 꽃은 있는데 대부분 빨래가 많은 편. 반면 독일은 통일성이 없고 지저분해보인다고 베란다에 빨래를 못널게 하는 곳도 있다 바르셀로나는 그 중간이었다. 독일만큼 깔끔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이탈리아처럼 너무 정신없는 것도 아닌.
꽃보다 할배 바르셀로나편을 보면 길을 찾던 이순재 할배님이 바르셀로나 길들이 바둑판처럼 생겨서 찾기가 어려웠다고 4번정도를 말씀하시는데 직접 겪고보니 죽을 맛이었다. 길들이나 건물들이 다 너무 똑같아서 여기가 저기 같고 저기가 여기같아서 시간이 배로 걸린다. 이런 도시계획은 사실 스페인의 유명한 토목기사 알데폰스 세르다가 1859년에 계획했던 것. 그는 모든 집에 햇빛이 잘 들어야하고 공기가 잘 통해야하며 초록이 많아야 한다고 주장, 결국 “확장”이라는 뜻의 에이샴플라 (Eixample) 구역을 만들었는데 이 구역의 블록들에는 건물들 하나하나가 ㅁ자라서 가운데에는 정원이 있고 모든 면이 햇빛을 받을 수 있다. 결국 윈윈인데, 200년이 흐른 지금, 나같이 지도를 잘 못보는 관광객들에게는 사실 고충이다.
This lovely gate was on the way to Park Güell. Most of the people were getting off at the Joanic station but M told us to get off at Lesseps, climb up the hill a bit, look around the view from the hill and walk down to the Park Güell. We did and it was a very good tip indeed.
This lovely gate was on the way to Park Güell. Most of the people were getting off at the Joanic station but M told us to get off at Lesseps, climb up the hill a bit, look around the view from the hill and walk down to the Park Güell. We did and it was a very good tip indeed.
So many parks in Barcelona! More like a jun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