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 the official blog for Holland says the Dutch have no specific cuisine. But this can work as an interesting plus.
The blog may say so, but the typical cuisine of the Dutch is simple: potatoes, vegetables, meat, a lot of cheese and other dairy products and a very wide selection of other various cuisines. Many cities now have a quite warm and welcoming feeling and this is what the tourism boards and marketing teams tend to focus on. But, in my experience, Amsterdam seemed the most welcoming. And the same goes to their food. They have almost everything, including one of the biggest chinatowns in mainland Europe.
When I asked some of my friends who have already been to Amsterdam where to eat, many referred to this very humble looking Thai restaurant. Thai in Amsterdam may sound a bit weird, but it was one of the best Thais I’ve had in Europe. It’s called Bird and it’s a “snackbar,” which is a very Dutch thing, more or less like a fast food joint or kiosk. There are two Birds, a proper, fancy restaurant with nicely dressed waiters and a small snackbar right across. The smaller one seems to be more popular, for some reason.
네덜란드의 공식 블로그에도 적혀있을 정도로 네덜란드 전통 음식은 딱히 건질만한게 없다. 굳이 재료라도 따지자면 감자, 고기, 다양한 치즈 그리고 요거트 종류. 도시를 다닐때도 그랬지만 뭔가 환영하는 분위기, 다들 반가워하고 다들 도와주려는 느낌을 강하게 받긴했는데 음식문화에서도 쉽게 느낄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중국 음식점이나 차이나타운을 거의 찾을 수 없는 반면 암스테르담은 유럽에서 가장 큰 차이나타운을 자랑한다. 그만큼 다른 나라, 외국의 문화와 음식에 거리낌이 없다. (이탈리아는 분명히 거리낌이 있다) 중식뿐 아니라, 태국음식, 인도음식, 터키음식, 그리스음식, 한식, 이탈리아음식, 멕시코음식 등을 굉장히 쉽게 찾을 수 있어 말그대로 골라먹는 재미가 솔솔.
그중에서도 유명한 곳이 Bird라는 태국 음식점. 암스테르담을 다녀온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하나같이 이곳을 추천해줬다. 신기해서 인터넷에도 찾아봤는데 어딜가도 최고라는 칭찬일색. 궁금해서 가보지 않을 수 없었다. 너무 맛있어서 계속 감탄하면서 암스테르담에서의 첫끼 해결. 첫끼가 태국음식이라 서로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을 받긴했는데 그렇다고 딱히 먹을게 생각나지도 않았다. 스낵바의 개념이 네덜란드에서 특히 일반적인데 이곳 역시 스낵바. 바로 건너편엔 같은 이름의 레스토랑도 있는데 가격때문인지 분위기때문인지 스낵바가 훨씬 인기가 많다.
The red district is where everything happens, normally, but it can be hard to find the right place with the right ambiance, the right lighting, the right air (no smoking of any sort in this place) and the right drinks. Het Elfde Gedod offers more than 50 different types of beer, which is impressive, even for Amsterdam. The bar serves mostly Belgian beer, which literally comes in different shapes, sizes and colors.
걷다보면 다양한 바들이 나오는데 사실 어디를 들어가도 가격과 분위기는 비슷하다. 하루 저녁에 세곳을 들어갔는데 가장 마음에 들었던 곳이 Het Elfde Gedod. 벨기에와 가까워 하이네켄뿐 아니라 벨기에 맥주들도 맛볼 수 있다. 벨기에를 가기전 예고편이라고 할까. 특히 과일맛이 나는 맥주들이 너무 맛있다. 거의 50여가지의 맥주를 맛볼 수 있는데 걸걸한 성격의 주인언니가 추천해준대로 먹으면 안전. 대체로 웨이터나 주인에게 추천해달라고하면 너무나도 친절하고 훌륭한 영어로 설명해준다. 독일도 영어가 가능하긴한데 가끔 발음이 다른 경우가 있어 단번에 알아듣기가 힘든데 암스테르담 시민들은 완벽한 영어를 구사, 순간 여기가 미국이야 네덜란드야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킴. 이건 바나 카페뿐 아니라 레스토랑, 꽃시장 상인, 치즈가게 언니오빠들도 마찬가지.
Kasteel Rouge: Brewed by Brouwerij Van Honsebrouck, Kasteel Rouge is a fruit beer, specifically the cherry. It has a 92 point on the beer rating site ratebeer.com and it was one of the most delicious beers I have ever tasted. This may be because I love cherries, but it was rich, not so sweet at all, even a bit dark like dark chocolate. It’s a blend of Kasteel Donker, which is a dark beer, and cherry liquor. 8%.
Kasteel Rouge: 체리맛나는 과일맥주. 맥주를 점수제로 랭킹하는 사이트 ratebeer.com에 의하면 92점이다. 개인적으로 먹어본 맥주 랭킹 1위. 너무 달지도 않고 너무 진하지도 않으면서 약간 다크 초콜릿같은 깊은 맛도 나는 맥주. Kasteel Donker에 체리맛 리쿠어를 섞은 맥주다. 알코올 8%.
Tripel Karmeliet: This one has a 99 rating on ratebeer.com. It was first brewed in 1996 but claims that it’s based on a recipe from 1679. Using three cereals; wheat, oats and barley; it’s an interesting taste: a bit of vanilla and banana from the house yeast with a little bit of a lemony tang. It also won the World Beer Awards in 2008 in the World’s Best Ale, World Best Pale Ale and the World Best Abbey Ale categories. Impressive. 8.4%
Tripel Karmeliet: 2008년 세계 최고의 에일로 선정되었던 맥주로 1679년에 사용했던 레시피를 그대로 따라서 만들어진다. 주재료는 밀, 귀리 그리고 보리. 설명에 의하면 약간의 바닐라맛, 바나나 그리고 레몬처럼 상큼한 맛도 난다는대 개인적으로 바나나맛까지는 느끼지 못했지만 확실히 다른 맥주보다는 부드러운 느낌. 맥주 랭킹사이트에서는 99점. 알코올 8.4%
Gouden Carolus Classic: Another beer with a 99% rate. This Belgian beer is known to “combine the warmth of wine and the freshness of beer.” A pretty big statement and although I can’t say I felt the warmth of wine, the taste was a bit deeper and darker than average. It takes some time for this one to mature and even when it’s time to bottle, it goes on bottled unfiltered, keeping the vitamins and richness intact. 8.5%.
Gouden Carolus Classic: 또하나의 99점 맥주. “와인의 따뜻함과 맥주의 시원함”을 섞은 맛이라고 마케팅하고 있는데 따뜻한 느낌은 잘 모르겠고 다른 맥주들보다는 강하고 무거운 느낌. (아, 그래서 속이 따뜻해진다는건가?) 마지막 병에 담기기전, 더 진한 맛이 나라고 필터링을 거치지 않는다고 한다. 알코올 8.5%.
Amsterdam and Belgium share a lot of similarities, including the food. One thing I didn’t know about Belgium was the love toward french fries, or as they call it Pommes Frites (this is also the same in German) The same love and interest lies in neighboring city Amsterdam. There’s a pommes shop in every corner, usually right beside waffle shops, another Belgium favorite. Although it would be easy to call them french fries, there’s an interesting history behind Belgian pommes. Lower class Belgians used to fry tiny fish as meals and during the winter when the river froze and it was impossible to catch fish, they would replace the tiny fish to small sticks of potatoes. They are usually much thicker than the usual french fries we see in fast food chains and are served in a paper cone, but the most impressive are the sauces.
맥주처럼 벨기에와 암스테르담은 비슷한 점이 많다. 또 하나가 바로 스낵 문화. 벨기에 못지 않게 와플을 즐겨먹고 특히 포메스 (Pommes)라고 부르는 프렌치 프라이의 인기가 대단하다. 골목마다 포메스 가게가 있고 길거리에서도 판다. 벨기에 전통에 따르면 오래전 가난했던 벨기에인들은 강에서 작은 생선을 잡아 튀겨먹었는데 겨울이 되어서 생선을 더이상 잡지 못하게 되자 가장 가격이 저렴했던 감자를 사서 생선 모양과 크기대로 잘라 튀겨먹었다고. 직접 만드는 프라이도 프라이지만 이보다 더 대단한 것은 소스다.
Pommes frites shop Frietsteeg serves 21 different types of sauces, including Samurai (spicy mayo), curry sauce, garlic sauce, cheddar cheese and other homemade ones. They fry the fries on the spot, so steamy, crunchy fries on the go.
Frietsteeg라는 유명한 프라이가게에서는 21가지의 소스를 제공한다. 매운 마요내즈, 갈릭 소스, 체다치즈 등등. 가장 인기가 많은 소스는 마요네즈.
Unlike other fries shops that are located right next to a waffle shop, this one was actually right across a chocolate cookie shop called the Van Stapele Koekmarerij. Wanting to find the perfect chocolate cookie recipe, the owners baked tray after tray and they finally found it. Here you can test if they stand by their word. The only serve one cookie, the one they decided that was the best. So it’s basically a dark chocolate cookie with a entire chunk of white chocolate inside. And because most of the ladies are mesmerized by the sight of this, (while the men are hovering over the french fries) chances are the cookies will be hot right out of the oven.
Frietsteeg 바로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는 초콜릿 쿠키 가게 Van Stapele Koekmarerij. 최고로 맛있는 쿠키 레시피를 찾아 직접 몇십개의 레시피를 따르다가 드디어 최고의 레시피를 발견, 바로 가게를 차려버렸다는 이야기. 그래서 쿠키의 종류도 딱 한가지다: 화이트 초콜릿 하나가 다 들어있는 초콜릿 쿠키. 특히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아 한판 구우면 바로 다 사라져서 다행히 늘 따뜻한 쿠키를 먹을 수 있다.
My friend K and I decided our lives would never be the same. G smirked so I gave him a bite. He didn’t make fun of me after the second bite.
The Poffertjes, which are like mini pancakes topped with various toppings such as plain powdered sugar, jam, fruit or/and butter. The original usually come with powdered sugar and butter, but you can add in more toppings. The taste of these mini pancakes are quite bland, considering the ingredients yeast and buckwheat flour, so adding toppings does make a big difference. You can find these on the streets but they also come as a quick mix form and a microwave form from the super markets. According to history records, the origin of these little treats is Indonesia, which was influenced during the country’s Dutch colony.
Poffertjes는 미니 팬케익의 느낌인데 놀랍게도 아무 맛이 없다. 메밀가루가 주원료라는데 그냥 밀가루맛. 그래서 (비싼 돈을 내고) 토핑을 얹어줘야한다. 기본은 가루설탕에 버터인데 너무 밋밋하면 딸기나 생크림, 바나나등의 다양한 토핑을 얹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토핑을 좀 얹었는데도 불구하고 너무 아무 맛이 없어서 괜히 먹은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다른 스낵들, 맥주들이 그랬듯이 이 Poffertjes 역시도 원조는 다른 나라. 네덜란드의 통치를 받았던 인도네시아의 작품이다.
And the most famous of them all, haring or in English “herring.” I was both dreading and looking forward to this fish dish. In terms of culture, it reminded me of Korean street food like tteokbokki or fish ball sticks: something you take when you need a quick snack but you don’t want to go in a restaurant or cafe to sit down and eat.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herring has been a popular and important food source since 3000 BC. In Amsterdam, they are served mostly raw but they can also be served fermented, pickled or smoked. It was personally a bit too much for me, but there are enthusiasts, like G.
가장 기대를 하면서도 먹어보기 두려웠던 헤링. 작은 물고기를 그대로 생으로 먹거나 훈제를 하기도 하는데 비린내가 익숙치 않은 사람에게는 무리일 수 있다. 그리고 모양 자체가 너무 단도직입적이라 더 거리감이… 네덜란드인들에게는 한국인의 떡볶기, 오뎅처럼 친숙한 간식거리. 실제로 퇴근을 하면서 출출해서 줄서서 기다렸다가 먹고가는 사람들이 대부분. 뻣뻣한 바게트빵에 끼워먹거나 작은 종이 그릇에 담아서 피클이나 절인 양파와 함께 쓱싹 먹고 사라지기도. 찾아보니 헤링은 네덜란드인들에게는 중요한 종합비타민같은 존재, 지금도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The stalls also sell different types of fish, including mackerel and salmon. Smoked mackerel is also popular and comes with mayo. This is also a popular snack in Germany, particularly in Berlin, according to Berlin-born K.
이런 작은 헤링 가게들이 거리 곳곳마다 있는데 대부분 기차역, 큰 쇼핑센터 옆 등을 찾아가면 꼭 있다. 헤링말고도 연어, 고등어 등도 파는데 고등어 역시 훈제해서 마요네즈에 찍어먹는다. 느끼함의 결정판.
Chees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the Netherland cuisine, thanks to its rich farmland and high number of dairy cows. They are served in almost every form in any given time, breakfast, sandwiches, cubed, chopped, shredded and sometimes even fried.
Archeological discoveries have proven that the Dutch were already consuming cheese for thousand’s of years and Julius Ceaser was also impressed by these “yellow gold.” The famous cheese Gouda is from a small city in the province of south Holland called Gouda. It’s very easy to find cheese markets and shops around Amsterdam, and most of them offer samples, which can be handy when you don’t know which one you may or may not like. Besides the traditional Dutch cheese, many manufactures have also come up with interesting variations, such as Wasabi cheese and chili cheese.
암스테르담 거리를 걷다보면 꼭 마주치는 곳이 치즈가게. 꼭 사지 않아도 들어가서 몇가지 치즈도 시식할 수 있고 치즈관련된 용품들도 구경하기 좋다. 고다 치즈가 네덜란드의 고다지방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았는데 그만큼 지방마다 즐겨먹는 치즈, 먹는 방법 (튀겨먹기도, 이 또한 느끼함의 결정판), 불리는 이름도 조금씩 다르다.
- Bird (There’s a restaurant and a snackbar. Although they are run by the same owners, the snack bar seems to be much more popular. Plus, it’s faster and more affordable, so win win)
- Frietsteeg (Heisteeg 3 en Brughuisje Stadionkade 1012WC Amsterdam, It’s located in a small street called Heisteeg, which is about five minutes away from the flower market.)
- Van Stapele Koekmarerij.
All photos by rachelsanghee
I love your story.
Than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