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ttgart’s Cannstatter Volksfest is about to commence. This Friday.
Cannstatter Wasen is Stuttgart’s version of Munich’s Oktoberfest. Every October (some cities even September), Germany turns into a giant tent of beer, chicken, french fries, games. To celebrate the coming of the grand beer festival, I brought back some photos, mostly backstage photos, I took the past two years.
The Oktoberfest in Munich is the world’s largest fair, with more than 6 million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attending every year. I can’t really imagine 6 million people drinking and singing in the same place. The event dates back to 1810 and originates from King Ludwig I and Princess Therese of Saxe-Hildburghausen’s wedding celebration. Now that’s a wedding of the year. It also used to have horse races, but this ended in 1960. This would have been very cool yet a bit catastrophic. Beers, Germans (and the rest of us) and horse races?
뮌헨의 옥토버페스트가 가장 유명한 것뿐이지 같은 시기에 독일 대부분의 도시에는 같은 주제 같은 스타일의 맥주축제가 열린다. 사실 어느 도시를 가건 분위기는 같기 때문에 오히려 좀 작은 도시의 축제에 가는 것이 오히려 나을수도 있다. 스튜트가르트의 맥주 축제인 Volksfest가 드디어 이번주 금요일에 열리는데 뜬금없이 생각이 나서 지난 2년에 찍었던 사진들을 모아봤다. 여기 스튜트가르트에서는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열린다.
1810년 Ludwig 1세와 Saxe-Hildburghausen의 테레사 공주의 결혼식을 시작으로 처음 선보인 맥주축제. 역사가 지금까지 이어져내려오고 있다. 경마경기도 있었다고 하는데 너무 위험해져서 1960년에 사라지고 말았다고. 처음부터 잘못된 전통이었다. 맥주와 독일인들, 그리고 경마라니.
I like beer, and I’m used to drinking it as a refreshment. Korean beer aren’t very strong compared to German beer and many tend to drink it very fast. And this becomes a habit. When I first came to Germany, I would do the same thing: drinking it very fast, like three gulps at once. And then I realized G was looking at me with worried eyes. “You can’t drink German beer like that anymore. You need to pace it.” I didn’t understand why, but after a few beers and headaches, I understood. German beer is stronger and heavier, which means you can’t go on drinking it like it’s coke. The beer sold at such festivals are a bit stronger than the normal beer, so then you really have to look out.
독일에서 맥주를 마실때 주의할 점은 한국에서처럼 콸콸 시원하게 마시면 안된다는 것. 우리나라 맥주보다 꽤 세서 벌컥벌컥 마시다가는 바로 취해버리는 수가 있다. 처음에 아무 생각없이 시원하게 벌컥벌컥 마셨다가 맥주를 마시고 취해버리는 기자 출신 한국인이 되어버림. Oktoberfest에서 파는 맥주는 일반 맥주보다도 2도 정도 세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한다.
Usually there are only 1 liter jugs of beer available at these festivals, and I found this very challenging. For one, it’s hard to finish it and second, it’s very heavy to lift it up and “Prost!” it every 10 minutes or so. Another interesting fact was the songs. Same songs over and over and over and over and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Folk heaven. I’m also a bit scared of the people throwing up around me. The throwing up was actually an interesting ritual. Throw up, someone comes and throws sand on it, making a little sand castle, and there you go. No fuss no muss. You still have to watch out when you walk out. Those little sand castles are not at all entertaining. Terrifying, maybe.
대부분의 축제장에서는 맥주를 1리터씩만 팔기 때문에 일단 맥주잔이 너무 무겁고 다 마시기도 벅차다. 그리고 독일인들답게 같은 노래 반복 반복 반복 반복 반복 반복 반복 반복. 포크송뿐, 최신가요는 거의 없다. 역시나 텐트 안에 들어가서 마시는것이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긴 한데 치명적인 단점이 몇가지 있다. 일단 담배를 너무 많이 펴서 금방 눈에서 눈물이 줄줄. 한번 자리를 뜨면 다시 그 자리를 찾으려면 적어도 10분은 헤매야한다는 것. 예약을 하지 않으면 자리 구하기도 힘들 정도.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토한다는 것. 토하고 바로 다시 앉아서 맥주를 마시기 시작하면 직원들이 어디서인가 나타나 모래를 뿌린다. 어느샌가 주변에 계속 모래성들이 생겨나기 시작. 극도로 조심해야하는 부분이다. 걷다가 잘못 밟기라도 하면 큰일. 대신 음식은 다들 기름지고 맛있다. 맥주와 딱 맞는 음식들: 꼬치, 치킨, 피자 그리고 프렌치 후라이.
- Cannstatter Volksfest 2014: 26.9-12.10, 2014.
First photo by Stuttgart Tourism, rest photos by rachelsanghee. October,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