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ent trend of robots and coloring books.
Plushy robots, little robots, big robots, shiny robots, paper robots, decorative robots, toy robots, wooden robots. They were everywhere.
개인적으로 로봇 인테리어 데코를 좋아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이번 파리 여행에서는 유독 로봇들이 눈에 띄었다. 로봇 인형, 큰 로봇, 작은 로봇, 반짝이는 로봇, 종이 로봇, 데코용 로봇, 장난감 로봇, 나무 로봇 등. 어느 한 물건을 살때마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약간 피곤한 성격때문에 사지는 않았지만 다음날 다시 갔으면 분명히 샀을 로봇들.
I’ve noticed the recent interest in coloring books for adults in Seoul: I’ve seen a lot of photos on social media by friends marketing them as the new yoga, green juice or pilates of stress relief. I never thought of actually buying them but I did do some digging on their actual effects. It starts out with the recognition among the French calling it “art therapy” or “anti-stress books” and then the actual de-stressing effects.
로봇들과 함께 서점에 베스트셀러로 나열되어 있는 책들은 바로 색칠공부 책들. 최근 서울에서도 부쩍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 파리에서 특히나 그 인기가 많아서 종류별, 가격대별로 다양하게 찾을 수 있다. 누구나 한번쯤은 한 권정도는 있었을법한 책부터 굉장히 어려워보이고 복잡한 스케치들로 가득한 책까지. 그 인기가 궁금해서 인터넷에 종류와 기원, 그리고 효과에 대해 찾아봤다.
In a nutshell, coloring has such an effect because it requires concentration and it also brings out the child in us, more creative and freer. And then there’s a list of various coloring books you can find online. (I would choose #9, #12 and #23) There was an important point, though, regarding the side effects: if you are overly stressed to the point to depression, coloring books can actually mount on more stress. I can also imagine for some perfectionists, it can get a bit of a drag if you miss a color or color over the lines. I know because it happened to me a lot when I was young. Such a difficult kid, me.
결론은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요가, 필라테스, 그린 쥬스를 잇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의 대표가 되어버린 색칠공부 책들. 과학적으로 한 곳에 집중하고 다양한 색깔을 사용하면서 스트레스가 줄고 창의력이 늘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데 스트레스가 굉장히 심하거나 우울증, 강박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 나는 한장을 꽉 채울때까지 작은 부분을 잘못 색칠하거나 선을 약간 넘기만해도 스트레스를 받는 피곤한 어린이었기 때문에 옆에서 나는 구경만하고 사진만 찍는걸로. 기본적인 색칠공부뿐 아니라 타투, 동화책 등으로도 만들어져서 구경하기엔 최고.
All photos by rachelsanghee. December,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