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my life changed completely in one single day.
They say life is full of surprises. And I’m one of those people who’s experienced it full hand. Who knew I would be living in Germany, married to an Italian, learning how to wine and dine with friend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traveling my butt off as much as possible. Some surprises come unexpectedly, while some come as something expected but bring the same, or even more, level of shock, excitement and nervousness. My pregnancy was expected, but I was somewhat surprised how hard it was to not be able to eat sushi and wine, how tired I would be every passing day and how strange it would be to feel the little tickling inside my belly. And boy, did she move.
드디어 오셔버린 아가. 먼저 아이를 키워본 친구들이 모두 줄어든 잠이 가장 힘들었다고 하는데 나 또한… 5시간 이상을 못잔다는 상황이 괴로우면서도 3시간마다 깨는 아가를 보면 말그대로 엄마미소가. 엄마가 오시지 않았으면 난 바로 패닉이 될뻔했는데 너무나도 다행히 엄마가 계셔서 숨 돌리고 있는 상황. 뱃속에서도 그렇게 움직여서 잠을 잘 못잤는데 나와서도 가만있질 않아서 고생 중. 엄마의 말씀대로 어찌나 “바시락”되는지, 기저귀 한번 채우기가 힘들 정도.
Now that the little one’s born, I can’t seem to handle the daily worries I go through every second: is she eating enough? Is she sleeping too long? Is her poo the way it’s supposed to be? Are we too loud around her? Is she cold? IS SHE BREATHING?
소심한 A형인 내가 역시나 예상했듯이 하루종일 걱정뿐. 너무 많이 먹는건가, 적게 먹는건가, 왜 잠을 안자지, 왜 안깨지, 똥은 원래 이런 색인가, 노래가 너무 큰가, 들리긴 하나, 춥나, 덥나, 그리고 결정적으로, 숨을 쉬고 있는거니?? 빨래를 거의 매일 하고 있긴한데 그래도 “천 기저귀 쓰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 이라는 엄마의 말씀. 20살인 동생때도 천 기저귀와 일반 기저귀를 섞어서 사용했다는 엄마의 경험에서 힘들다고 졸리다고 불평하던 나는 바로 반성.
The experience at the hospital was not a very pleasant one, but then hospitals are not supposed to be sweet and cozy as a hotel by any means. There were some ups and downs during my six-day stay, including the actual birth which led to some serious blood loss, but we’re all back at home, tired but happy.
독일에서의 병원 경험은 처음이었는데 다시는 하고 싶지 않은 경험. 모든 병원이나 기관에는 절차가 있기 마련, 그래도 여기 저기 조금씩 유연하게 대처하고 판단하기 나름인데 여긴 절대 용납되지 않는다. 병원이라 이해는 가면서도 좀 심할 정도로 닦달을 해서 답답하고 속상했다. 우리나라 산후조리원이 얼마나 좋은 곳인지 (가보지 않았지만) 여기서 독일 병원을 경험해보니 아마 천국이었을듯. 일단 여기선 아이를 데리고 자야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보호자는 잘 수도 없다. 보호자는 마음대로 드나들 수도 없고 거의 모든 일들이 엄마와 아가 중심으로만 돌아간다. 아가를 데리고 자면서 필요하면 간호사, 혹은 산파 언니 아줌마들이 드나들면서 도와주는데 말이 도와주는거지, 잠도 안오고 아가가 울면 패닉되고 피곤하고 아픈 상황에서 그분들의 이야기가 제대로 들릴리 없고… 좋은 점이 있었다면 다들 영어를 못해서 나의 독일어 실력이 굉장히 향상되었다는 것 정도.
안그래도 너무 피곤하고 힘든데 사람들까지 닦달을 하니 짜증이… 피를 좀 많이 흘려서 병원에 조금 더 오래 있어야했는데 미치는 줄. 왠만하면 화 안내는데 나중에는 간호사, 의사한테 화까지 내며 결국엔 집에 돌아왔다.
Brand new skin! So fluffy and soft. After some baths, the white exterior will gradually peel off, leaving the skin super smooth and soft. I still can’t handle the five toes and those little individual toenails. Sigh.
하루가 다르게 얼굴이 변하고 있는 A양. 같은 얼굴인데 신기하게도 변신 중. 주변 친구들이 매일매일 사진을 찍어놓으라고 한 이유를 알 정도. 아가를 낳은 부모라면 핸드폰으로라도 사진을 매일 찍어볼 것을 추천. 어제 다르고 오늘이 다르다!
I’m planning to document A’s growth, her stories, my stories and our stories as a threesome here, and hopefully, it will be fun and informative for those seeking some help in bringing up a child in a foreign country. So the first and second week is done. 50 more to go. Let’s do this.
- Hospitals in Germany give tours once in a while for pregnant ladies and families where you can tour the facilities and ask questions about the hospital. We chose Marienhospital because it was so close to where we live, but if logistics wasn’t an issue, I would have chosen a different one. One thing we forgot to check was the wifi availability. In our case, Marienhospital didn’t offer free wifi, while Katharinhospital and Bosch Krankenhaus did.
- Be strong when you talk to the Hebammen working at the hospitals. They are there to assist and help you out, but sometimes, you just know something isn’t right and you need to speak out. I felt this was more of a German thing, compared to Asia. If you think something’s not right or uncomfortable or you need something more, speak up. They won’t come and help you if you don’t ask.
- When it comes to flexibility, it’s a bit tough in German hospitals, at least from my experience. I had a feeling the air was a bit too cold for the baby, so I added another layer of onesies to the little one and got yelled at. Hospitals have protocols and these protocols and rules were not to be considered lightly. We learned that the hard way, a couple of times.
- 진통부터 출산까지 모든 일들이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독일. 내진도 거의 안하고 한시간에 한번만 와서 어떠냐고 물어보고 조금 더 기다려보자고만 얘기하고 나가고. 회음부를 찢거나 셰이빙을 하거나, 심지어 관장도 직접 얘기하지 않으면 해주지 않는 정도. (미칠 정도로 아파도) 끝까지 기다려주고 강한 약이나 내진 등으로 인공적으로 진행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 몸무게와 모유수유에 목숨거는 독일. 아가가 나오면 체중이 줄어드는 것은 약간 당연한데 숫자에 굉장히 집착하는 모습. 모유수유도 거의 아가를 굶겨가면서 억지로, 억지로 시켜서 개인적으로는 약간 불편했다. 서양인과 아시아인의 모유수유와 모유가 나오는 양에 차이가 있을법도 한데 너무 강제적으로 시켜서 나중에는 약간 신경질을 내며 강하게 얘기했더니 조금은 유연해지기도.
- 독일에서 많이 쓰는 젖병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누크 아니면 필립스의 아벤트. 나보다도 한국에 있는 엄마들이 독일의 아가제품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있어서 부끄럽지만 개인적으로는 아벤트가 누크보다 낫다는 결론. 물도 좋지 않아서 “아기용 물”이라고 파는 물을 사서 분유도 타는 중. 물 때문에 목욕도 일주일에 한번 시키라는데 이건 너무하다 싶어서 일주일에 두번 정도만.
- 여기서도 Stokke의 인기는 대단! 인터넷으로 사면 확실히 싸다는 사실. 그러고보면 모든 아기용품들은 인터넷으로 사는 것이 저렴하다. 물도, 기저귀도, 유모차도, Stokke Tripp Trapp도. 앞으로 돈 쓸일만 남았다 이제. 하하.
All photos by rachelsanghee. Bits and pieces of my little one, every week, in 2016. 1,2/52 wee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