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kespeare and Company is famous yes, but there’s another one you need to know about.
If you type Paris bookstores, you will be redirected to Paris “bookshops,” which I’m not quite used to. I looked it up and while most American English speaking areas call it bookstores, such stores are called “bookshops” in the UK, Australian and most of the Commonwealth excluding Canada. Even in Paris, they are called bookshops. Good to know.
One of the bookshops I managed to visit during my short trip to Paris was the Galignani, an all English bookstore. The name Galignani is, in fact, Italian, and thus starts a very interesting history of the Galignani family and their interest in books and linguistics.
이번 파리 여행에서 가고 싶었던 유명한 서점 두 곳. 하나는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 또다른 하나는 갈리냐니. 특별히 책을 사는것도 아닌데 꼭 들어가게 되는 서점들. 이제는 버릇처럼 무조건 들어가고 본다.
Giovanni Antonio Galignani was an Italian publisher who spent most of his time in Paris teaching Italian, German and English during the late 1700s. This went on for a while, and then he moved to London, got married, had two sons and moved back to the city of light, where he and his wife started to offer linguistic breakfasts and tea sessions to people who were seeking to learn and master English or Italian. This became quite popular and the couple eventually opened an English bookshop and library in 1801, which is now known to be the first English bookshop established on the European continent. He was a true believer of the written word and also published a newspaper in the city. A quite interesting story, in fact, if you consider that he spoke four languages where even today English is not considered a prerequisite and was eager to share his knowledge and expertise to anyone who was willing to learn. Such a passion.
갈리냐니는 유럽 대륙 최초의 영어 서점이다. 지오반니 안토니오 갈리냐니씨는 파리로 이민 온 이탈리아인으로 언어와 책에 관심이 많아 1700년대에 파리에서 영어, 이탈리아어 그리고 독일어를 가르쳤다고 한다. 그러던 중 런던으로 이사를 가게 되고 결국 거기서 결혼을 하게 되는데, 나중에 두 아들과 부인을 데리고 다시 파리로 돌아오게 된다. 이번에는 부인과 함께 영어와 이탈리아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아침 식사 제공도 하고 차도 대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결국 1801년, 영어 도서관 겸 책방을 열게 된다. 이 책방이 바로 그 책방.
The interior is not much different from any other bookstore; bookshelves all the way up to the ceilings, old, wooden ladders, both locals and travelers browsing along the shelves and the glorious smell of books, both old and new. I have to admit and advise again, there’s nothing that shouts out of the ordinary, but it is a part of an interesting history, plus it’s very close to the Jardin des Tuileries and you can now answer the question “do you know where the first English bookstore on the European continent is?”
사실 모르고 들어가면 그냥 어떤 도시에서나 볼 수 있는 서점/책방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책들로 가득 차 있는 평범하고 조용한 곳. 영어책의 종류가 굉장히 제한적인 독일에 비하면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꽤 많은 종류의 영어 책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기차나 전철을 타면 꼭 볼 수 있는 광경이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 작은 소설 뿐 아니라 두꺼운 표지에 정말 무거워보이는 책들도 아무렇지 않게 읽고 있다. 개인적으로 서울에서는 책을 잘 안 읽게 되었는데 독일에 와서는 자연스럽게 조금 더 읽게 되는 것 같아 나름 다행. 그래도 전체적으로 책을 읽는 시간이 전보다는 줄어든 것이 사실. 실제로 2014년 일주일에 책을 읽은 시간을 계산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프랑스인들은 6시간 54분, 독일인은 5시간 42분 그리고 이탈리아는 5시간 36분인 것에 비해 한국인은 3시간 6분 정도의 시간을 책에 할애한다고.
Paris: dessert book heaven. Not just recipes, but the history, the different types and as novels.
프랑스는 디저트 관련 책들의 천국!
One of the most popular bookshops in not only Paris, but probably the world: Shakespeare and Company. The history! There were two, the first one opened by Sylvia Beach in 1919 and the second one led by George Whitman. Beach’s bookstore closed in 1940 during the German occupation of France and rumour has it that it was because she refused to give a German officer the last copy of James Joyce’s book “Finnegans Wake.” The second one was originally named “Le Mistral,” but it eventually took the name Shakespeare and Company in tribute to Beach’s store in 1964. The one that many know from all the movies and stories is the second one.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책방이 아닐까: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 짤막하게 역사를 들여다보자면, 원래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의 이름을 딴 책방은 실비아 비치라는 미국인이 1919년에 세운 곳이 최초. 독일군이 프랑스를 점령한 후 1940년에 이 책방은 반강제적으로 문을 닫게 되었고 1964년, 조지 휘트먼이 비치여사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빌려 새로 오픈하게 된 것. 반강제적으로 문을 닫게 된 이유는 비치 여사가 당시 독일군이 원하던 책을 건네주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생각해보면 이래저래 대단한 여인이었다.
It’s forbidden to take photos inside and not only do I respect that, but I believe it’s quite impossible to capture the overall ambience of the insides through photos anyway. Which is probably why you can’t find a lot of photos of the interior. Perhaps except from the movie “Before Sunset.” It’s tight yet cozy, dark yet lively, old but homey. Not only are there books, but posters, postcards, drawings by children, scribbled notes, memos, transcripts and pamphlets covering the walls. Walk, or rather climb, upstairs and you find a tiny desk, a small salon and a reading space, all surrounded with walls of books from floor to ceiling. The very narrow halls and paths inside the store barely fits one person, but nobody seems to care. I know I didn’t.
책방 안에서는 특별히 허락을 받지 않은 이상 사진 촬영이 금지. 그래서 책방 인테리어는 사실 인터넷에서도 찾기 힘들다. 그나마 볼 수 있는 곳이 영화 “비포 선셋.” 안을 들어가보면 동굴에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 어둡지만 아늑하고 오래된 느낌과 냄새가 나지만 그만큼 역사가 깊은 느낌도 들고. 파리의 수많은 호텔들이나 거리가 그렇듯, 여기저기에 종이 쪽지들, 찟겨진 책장, 엽서, 놀러온 아이들이 그린듯한 그림들, 뭘 그렇게 써내린 메모지들 등등이 벽 구석구석을 장식하고 있다. 좁은 계단을 올라가보면 다섯명이면 꽉찰만한 작은 방, 조그만 책상 그리고 차를 마시거나 작은 행사를 진행한다는 살롱이 있다. 워낙 책들로 둘러싸인 곳이라 공기가 나쁠법도 한데 다들 역사의 한 순간을 한번이라도 더 느끼려는 것인지 한숨들 쉬고 다시 내려오는 상황들의 반복. 나 또한 떨린 마음을 안고 한껏 구경하고 걸어나왔다.
Words by Mr. Whitman himself are written outside the bookstore. I couldn’t really grasp how much Mr. Whitman loved and respected the bookstore and Sylvia Beach, but these words helped me understand at least where he was coming from.
“Some people call me the Don Quixote of the Latin Quarter because my head is so high up in the clouds that I can imagine all of us are angels in paradise, and instead of being a bonafide bookseller I am more like a frustrated novelist. This store has rooms like chapters in a novel and the fact is Tolstoi and Dostoyevsky are more real to me than my next door neighbors and even stranger to me is the fact that even before I was born Dostoyevsky wrote the story of my life in a book called “The Idiot” and ever since reading it I have been searching for the heroine, a girl called Natasia Filipovna.
One hundred years ago my bookstore was a wine shop hidden from the Seine by an annex of the Hotel Dieu Hospital which has since been demolished and replaced by a garden. Further back in the year 1600, our whole building was a monastery called “La Maison du Mustier.” In medieval times each monastery had a frère lampier whose duty was to light the lamps at nightfall. I have been doing this for fifty years. Now it is my daughter’s turn.”
– George Whitman
책방 밖에 써져 있는 휘트먼씨의 글. 얼마나 이 책방을 사랑하고 존경했으면 자기 딸 이름도 전 주인 따라서 지었을까 하는 생각. 이 글을 읽으면서 조금이나마 이해가 갔다.
“우리 모두가 파라다이스의 천사들이라고 주장할만큼 뜬구름 잡기의 대가인 나를 어떤 이들은 라틴 구 (Latin Quarter) 의 돈키호테라고 일컫는다. 하지만 나는 사실 성실한 서점 아저씨보다는 불만이 많은 소설가에 더 가깝다. 이 서점에는 마치 소설의 수많은 장과도 같은 방들이 있는데 솔직히 얘기하자면 나는 우리 옆집 이웃들보다 톨스토이나 도스토엡스키가 훨씬 진짜같은 느낌이 든다. 게다가 내가 생각해도 이상한 것은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도스토엡스키가 나의 인생에 대한 책을 썼다는 것인데 바로 “백치”라는 작품. 이 작품을 읽은 이후부터 지금까지 나는 작품의 주인공 나타샤 필리포브나를 찾아 헤매고 있다.
100년전 우리 서점은 (파리 최초의 종합병원) Hotel Dieu Hospital 옆에 붙어있던 부속건물의 와인 가게였다가 건물은 무너지고 정원이 되었다.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간 1600년에는 건물 전체가 “La Maison du Mustier”라는 수도원이었다. 당시 중세시대의 모든 수도원에는 해가 진 후 램프에 불을 켜는 램프쟁이가 있었다고 한다. 지난 50년동안 나는 바로 그 램프에 불을 켜는 역할을 해왔다. 이제는 우리 딸 차례이다.”
– 조지 휘트먼
All photos by rachelsanghee. December,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