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and loved in Germany.
Back in Germany, nestled in the new flat, still a lot of settling to do and getting used to waking up with all the light. Our daily lives these days but then there was the Ambiente 2018 in Frankfurt. I won tickets for the “international comsumer goods trade fair” in Frankfurt from the lovely people at Kahla Porzellan, a German porcelain brand and a personal favorite of mine. I was super excited because one, I love the brand, two it was the perfect type of fair I would genuinely be interested to go and three, it was a great opportunity to meet a cousin in law who’s leaving Germany after four years.
독일의 주요 도시 프랑크푸르트. 스튜트가르트에서 기차로 한시간밖에 안되지만 자주 가게 되지는 않는다. 크고 작은 한국 회사들이 꽤나 많아서 한국음식도 한국 못지 않게 먹을 수 있다고 하지만 기차로 가서 먹을만큼도 아니고..그런 차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독일 도자기 회사 칼라의 초대로 매년 열리는 국제 소비재 박람회 Ambiente 2018에 다녀왔다. 좋아하고 선호하는 칼라이기도 하고 부엌용품의 천국이라고도 하는 소비재 박람회라 재미있을것 같아서 다녀왔는데 재미는 있었는데 하루에 다녀와서 엄청 빡셌다는… 특히 1.5세의 아기를 데리고 다니니까 정신이 배로 없었다는 사실. 요즘 유모차를 절대 타고 싶지 않아해서 유모차는 거의 짐으로 데리고 다닌다.
So the trip to Frankfurt was pretty simple: a train ride of and hour and 40 minutes, then the S Bahn to Messe Frankfurt and we could walk directly to ticketing. It’s overwhelming: there are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walking, pacing, running with backpacks, suitcases and coffees, pamphlets everywhere, advertising, announcements and of course, no baby in sight. (I think we later spotted two) We headed to the Kahla stand because I wanted to thank them and also see their new collection. Like I said, I’m a fan.
소비재 박람회여서 사람들이 엄청 많았는데 문제는 기업대 기업, 혹은 기업 대 전세계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하는 박람회라 우리처럼 개인적인 사람들은 살 수가 없었다는 사실. 불행인가 다행인가. 여행 가방을 끌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서 왜 짐을 들고 다니지 했는데 알고보니 팸플릿들을 챙겨서 다니는것이었다. 총 89개국의 국가에서 4,441개의 회사가 참여했다고. 우리처럼 아기를 데리고 온 집은 거의 없어서 돌아다닐때마다 A를 보고 다들 깜짝 놀라는 느낌. 다들 바쁘게 부스를 돌아다니는데 우리만 천천히 놀러나온 느낌이랄까. 그래도 초대도 받았으니 일단 Kahla의 부스로 향했다.
(This one was so excited on the moving walk. For sure the highlight of her day) I was never a deliberate fan of Kahla, meaning I wouldn’t know the piece I picked up at a store would be a Kahla before I turned it over to see the brand. Their designs are effortless, not too much but not too less.
(Favorite plates. And mugs.)
일부러 Kahla를 찾아다닌건 아니고 우연히 마음에 들어서 구매했던 제품들이 Kahla였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다른 제품들도 둘러보고 찾아보고 익숙해져가기 시작했다. 위에는 가장 자주 사용하는 Kahla 접시와 머그.
A short intro on Kahla Porzellan. Founded in 1844 (170 years!), it’s now one of the best known and beloved porcelain brands not only in Germany but the world. Kahla is actually a small town in Thuringia and the company vouches for its 100 percent commitment to a sustainable production in Germany, securing more than 300 jobs and 20 apprenticeship positions in Thuringia. To me, it’s a bit less industrial and I love the fact that it comes out with small batches of lines and collections throughout the year. You can see the designs and collections based on the actual designers here and most of the designs are quite young but classic. I find some bigger brands tend to keep their old designs and while I appreciate the loyalty they have toward their own classics, I don’t see myself buying them because they’re a bit “too” classic and can sometimes even come across as boring and old fashioned. Something like “Oh, THAT again?” Nothing so fresh about that, in my opinion.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른 독일 부엌용품들은 개인적으로 안전한 디자인과 전통을 추구하는 편인데 적어도 Kahla는 젊은 디자이너들을 많이 채용하는 느낌. 원래 Kahla는 독일 중부의 Thuringia라는 지역의 작은 마을. 1844년부터 도자기를 만들어왔는데 모든 제품과 기술력이 Made in Germany. 서울에서 엄청 많이 보았던 Villeroy & Boch보다는 덜 알려져있는 것 같은 느낌인데 (V&B는 신혼부부라면 거의 다 한세트 정도는 가지고 있을 정도) 이제 조금씩 아시아쪽에서도 적극적으로 뻗어나갈 계획이라고.
I was introduced to Kahla’s recent new line of childrens’ pieces, all inspired by famous fairy tales such as Sleeping Beauty, Hansel and Gretel and Snow White and illustrated by Katharina Sieg (her books are beautiful). Gorgeous but I think I’ll wait a bit until A is big enough to not throw her plates on the floor. It’s happened before.
어린이 라인도 꼭 만드는데 이번에는 여기서도 유명한 동화가 주제. 확실히 우리나라나 미국보다는 디즈니나 좀 더 상업적인 캐릭터는 인기가 많지 않고 크고 작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한 제품들이 사랑을 받는다. 누구나 아는 백설공주, 미녀와 야수지만 익숙한 디즈니는 찾을 수 없고 신인, 혹은 이미 동화책 등으로 이름을 알린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신선한 작품들이 소소하게 사랑받고 인정받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알지 못했지만 서울 가자마자 거의 폭풍처럼 밀려들어온 아기상어 노래…와는 차원이 다른 문화다.
This line was my personal favorite, which was designed by Lisa Keller. Her work is pretty, innovative, sensible and also works with all cuisines, including European and Asian. For a more in-dept interview about her and the now famous porcelain coffee to-go cup, you can read this (in German).
박람회에서도 만났던 Lisa Keller라는 디자이너의 작품. 뭔가 아련한 수채화 느낌인데 유럽식, 한식이나 중식같은 아시아음식도 잘 어울려보여 사고 싶었..으나 팔지 않네.
Kahla is also coming out with a new Christmas line inspired by the very popular trend of Hygge. Remember the Danish word and lifestyle that was a huge trend the last two to three years? If you have no idea, read this and if you’re totally over it, you are not the only one. Now that we’ve moved and have the time and luxury to actually decorate the place accordingly, I have to say I was intrigued. Following my new year resolution of “minimalizing,” I’m more interested in decorations that you can use all year round and these red yet modern designs were just that.
[bwwpp_book sku=’97802412839120000000′]
전에 살던 집은 워낙 좁기도 하고 꾸밀 마음이 안나서 안했는데 (게을러서…) 이번에 새로 들어온 집에서는 그래도 큼직큼직한 기념일은 조금씩 기념하기로. 큼직한 기념일이라면 단연 크리스마스, 독일에서는 굉장히 큰 기념일인 부활절 그리고 생일들. 추석이나 광복절, 제헌절 같은 한국의 기념일도 조금씩 추가하기로. 기념일에 집을 꾸미는 일은 미국인들이 1등이지만 돈을 아끼기로 유명한 독일인들도 큰 기념일에는 마음껏 돈을 써가며 인테리어에 신경쓰는 경향이 있다. 그 돈으로 가방이나 옷을 좀 더 사면 좋겠…지만 일단 그렇다는 점. 개인적으로 너무 크리스마스 혹은 부활절 티가 나는 장식들보다는 이미 있는 아이템과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는 제품들이 효과적일것 같은데 Kahla가 올해 중순에 출시할 제품들이 그렇다. 크리스마스인듯 아닌듯.
Their famous Cupit line, which is an on-the-go cup but in porcelain. I have a couple coffee tumblers myself but I do find that the material stains and doesn’t really clean properly. The Cupit is a perfect solution to both problems, as it is taste and odor free and also environmentally friendly. They are stackable, comes in different sizes and have lids that fit perfectly so no spills.
Kahla에서 출시해서 이미 유명해진 Cupit 라인. 테이크아웃 컵을 도자기로 만든건데 사실 보온병보다 나은 점을 찾으라면 좀 더 깔끔하고 닦기 쉽다는 정도? 보온병은 오래 쓰면 닦아도 흔적이 잘 남고 냄새가 약간 베기 마련인데 도자기는 그럴 걱정이 좀 적다는 것.
Another line that caught my eye was Salt Made by Lisa Keller. Little salt crystals are scattered around the plates and cups, creating a dreamy, almost outer space-y look. I don’t think I would be brave enough to buy this collection myself, but if you are looking for something really special, this would be it. How beautiful would it look on the table, perhaps an summer outdoor dinner with dimmed lights? Dreamy.
소금 결정체가 주제인 도자기 라인. 예쁜데 라인 전체를 일상 플레이트로 쓰기에는 약간 부담스러울 듯. 그릇이 많다면 전테 세트를 사서 여름날 밖이나 테라스에서 저녁먹으면서 석양을 바라보면… 너무 예쁘겠네.
Moodboards. Always moodboards. This seemed to be an overall trend around Ambiente, but there were a lot of earth tones; rich greens, soft light greens, earthy browns, caramels, rich and dark red and burgundy. Kahla’s upcoming color scheme also follows through: fresh herbs and dark cherry.
올해 Ambiente의 여러가지 트렌드 중 한가지는 어스 톤 (earth tone). 진한 녹색, 청록, 진흙색, 카라멜색, 그리고 진하고 짙은 붉은색 계열이 주를 이루었는데 Kahla 역시 올해 정한 트렌디색은 “싱그러운 허브색”과 “진한 체리색.”
Being a big fan of instagram, I appreicate Kahla for using the social media app to decide on such trends. With so many people online, it’s the easiest,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cheapest ways to not only promote a product and brand, but get ideas and inspiration from users too. And for that, well done, Kahla. Looking forward to more inspirations and ideas, both online and off.
인스트라그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브랜드 중 하나. 이제는 사실 인스타를 사용하지 않는 브랜드는 거의 찾아볼수도 없거니와 사용하지 않으면 개인적으로는 확실히 뒤쳐진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는 성공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는 Kahla.
- For more information, visit Kahlaporzellan.com.
- Kahla’s Instagram
All photos by rachelsanghee. February, 2018.